2018년 연봉계산기로 실수령액 알아보기
▶ 2018년도 또한 2017년과 다를 바 없이, 많은 구직자들이 취업문제로 인해 걱정과 고민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연봉과 월 실수령액은 어느정도의 차이가 있는데, 각종 세금을 제외한 세후 실제 월급은 어느정도나 될지,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통해 몇가지를 산출해봤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계산기를 통해 실수령액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현재 혹은 희망연봉, 퇴직금 별도 혹은 포함 여부, 비과세액, 부양가족수 등을 입력하시면 산출됩니다.
▼ 먼저, 연봉이 1,500만원일 때를 계산해보면, 국민연금은 약 52,000원, 건강보험은 약 35,000원, 장기요양은 2,300원, 고용보험은 7,470원, 소득세응 2,300원, 지방소득세는 230원, 예상 실수령액은 약 115만원 입니다. 연 수입이 1천 5백만원일때 이 정도의 월급을 받을 수 있네요. 열악한 소기업 등에 취직을 하면 이정도의 급여를 받기도 합니다.
▼ 이번엔 연봉이 1,800만원일 때를 계산해보면, 국민연금은 월마다 63,000원, 건강보험은 약 42,000원, 장기요양은 2,800원, 고용보험은 9,100원, 소득세는 6,800원, 지방소득세는 680원, 공제액합계는 123,220원, 예상 실수령액은 약 137만원 입니다.
▼ 이번엔 연봉이 2천만원일 때의 결과를 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은 약 7만원, 건강보험은 약 48,000원, 고용보험은 약 1만원, 소득세 또한 약 1만원, 공제액 합계는 약 14만 3천원, 실수령액은 152만원 정도 입니다. 연 수입이 2천만원은 되어야 150만원을 간신히 벌 수 있는 수준입니다.
▼ 연봉 3천만원일 때의 월별 수입을 보면, 국민연금이 약 11만원, 건강보험이 73,000원, 고용보험은 약 15,600원 등으로 실수령액은 대략 226만원 정도로 나타납니다. 연봉이 3,000만원이라고 해서 250만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것저것 떼면 226만원 정도가 세후로 남는 듯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3천만원 이상이면 많이 받는다는 느낌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각종 매체에 따르면, 30대 초반 나이대의 평균연봉이 3천만원 중반대의 수준이라고 합니다.
▼ 1년 연봉이 5천만원일 때의 세후 월급을 보면, 국민연금 약 18만 3천원, 건강보험 약 12만 4천원, 소득세 약 22만원 등을 제외하고 약 358만원 정도가 세후 실수령액으로 계산됩니다. 5천만원의 연봉을 받는 직장인은 전체의 약 20% 비율을 차지한다고 나타난 바도 있습니다.
▼ 이제 점점 더 높은 금액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연봉 8천만원 일때를 보면, 국민연금이 약 20만원, 건강보험은 약 20만원, 소득세는 약 68만원, 공제액 합계는 대략 121만원입니다. 예상 실수령액은 약 545만원 정도 입니다. 8천만원이면 전체의 약 7% 정도에 속하는 수준입니다.
▼ 억대연봉의 실수령액을 보기 위해, 1억원을 한번 입력해 봤습니다. 국민연금은 약 20만원, 건강보함은 25만원, 소득세는 약 106만원, 공제액은 총 169만원정도이고, 예상 세후 실수령액은 약 664만원으로 계산됐습니다. 연봉이 1억원일 경우, 전체의 약 3% 내에 드는 수준입니다. 엄청난 수치죠.
▶ 이렇게, 1,500만원부터 시작하여 1,800만원, 2,000만원, 3,000만원, 1억원 등의 세후 실수령액을 간단히 계산해 봤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예상치이기 때문에 사실과는 조금 다를 수도 있으니 언제까지나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20대 뿐만 아니라 30대 직장인, 40대 회사원, 50대의 가장 등 모든 연령대의 구직자들이 힘든 시기입니다. 다들 잘 견뎌내고, 후에는 꼭 좋은 날이 있길 바랍니다.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연봉별 실수령액 완벽정리 (0) | 2018.01.20 |
---|---|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대상과 요건, 지원금액 알아보기 (0) | 2018.01.18 |
쉬워진 2017년 연말정산 간단히 살펴보기 (0) | 2018.01.12 |
농협 공인인증서 PC-스마트폰 복사하는 방법 (0) | 2018.01.08 |
겨울 내일로 여행 티벳 가격, 발권, 혜택 꿀팁 (0) | 2018.01.01 |